카테고리 없음

크래프톤, 수익성은 여전히 괴물급일까?

꽃여사 2025. 6. 15. 15:21
반응형

크래프톤
크래프톤

 

게임 한 방의 신화를 넘어, 글로벌 IP기업으로 진화 중!

‘배틀그라운드’ 하나로 세계를 뒤흔든 크래프톤(KRAFTON), 단발성 히트로 끝날 줄 알았던 이 게임사가 지금은 고수익 구조를 정착한 글로벌 게임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기준, 크래프톤은 여전히 국내 게임 업계 상위 매출 톱3 안에 드는 막강한 실적을 보이고 있죠.


 크래프톤 수익성, 수치로 말하자

2023년 크래프톤의 연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 약 1조 9,000억 원
  • 영업이익: 약 7,000억 원
  • 영업이익률: 무려 36% 이상

이는 글로벌 게임 기업 중에서도 매우 높은 수익성입니다. 특히 소수 IP 중심으로 이 정도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죠.


반응형

왜 크래프톤은 여전히 잘 벌까?

1. 배틀그라운드의 ‘수명 연장 전략’

  • 콘솔, PC, 모바일 버전 모두 라이브서비스를 통해 지속적인 수익 창출
  • 핵심은 ‘유저 충성도 + 낮은 개발비’ 구조로 운영 효율 극대화

2. IP 확장과 신작 개발

  • '더 칼리스토 프로토콜' 등의 신규 타이틀 출시로 IP 다각화 시도
  • 인도·중동 등 비서구권 시장 공략 → 유저 기반 분산

3. 생성형 AI·UCG 기술 투자

  •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자동화, 차세대 게임 개발 환경 선도
  • 스토리텔링 기반 IP 개발사 ‘언노운 월즈’ 인수 등 콘텐츠 확장도 적극적

크래프톤이 주목받는 이유 3가지

  1. 단일 게임 의존 → 플랫폼 다변화
    • ‘배그에 올인’하던 과거에서 벗어나, ‘게임+엔터+AI’ 융합 전략으로 변화
  2. 해외 매출 비중 90% 이상
    • 국내 시장 둔화와 무관한 글로벌 캐시카우 구조
  3. 자체 기술력으로 인건비·유통비 절감
    • 고정비 부담을 줄이고 ROI 중심의 투자 전략 수립

투자자·창업자가 주목해야 할 수익성 포인트

“크래프톤은 ‘운이 좋은 1hit 기업’이 아니라,
매출 구조를 이해하고 수익을 설계한 IP 공룡이다.”

  • 고수익 구조 모델: 단일 IP로 최대 수익을 뽑아내는 ‘롱런 전략’
  • 비용 효율 모델: 퍼블리싱보단 개발 중심, 유통 수수료 최소화
  • 확장성 있는 모델: 웹툰·영화·애니메이션 등 IP 확장 진행 중

 크래프톤을 통해 보는 고수익 게임 비즈니스 모델

항목크래프톤 전략수익성과의 연결

IP 배그 중심, 신규 IP 개발 장기 매출원
마케팅 ROI 기반 타겟 집중형 마케팅 비용 효율
인프라 자체 게임엔진·툴 보유 개발비 절감
수익구조 글로벌 유저 대상 IAP 중심 외화 수익 확보

마무리: 크래프톤은 지금 ‘게임사’가 아니다

크래프톤은 더 이상 ‘게임 하나 잘 만든 회사’가 아닙니다.
이제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수익성 면에서도 여전히 ‘괴물 같은 실적’을 유지하는 중입니다.

게임업계에서 창업을 고민하는 이들이나,
고수익 비즈니스 모델을 연구하는 투자자라면
크래프톤의 수익 전략은 반드시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